카스는 심지어 남들에게 속아 넘어가지 않는 사람들에게도 오랫동안 한국에서 누구나 알고 있는 이름이었다.
국내 맥주 업계 1위인 오리엔탈 맥주는 80년 넘게 영업해 왔지만, 중국과 같은 해외 시장으로 진출한 지 얼마 되지 않았다.
심지어 2016년 매출액이 1조 5천억원에 달할 잘 확립된 브랜드의 경우에도 그 이유는 분명하고 간단하다. 한국 맥주는 잘 팔리지 않기 때문이다.
한국의 맥주 시장은 오랫동안 국내의 두개의 파워 브랜드인, 오츠 바이 오츠와 하이트 진로가 주도해 왔다. 라거는 시장의 90퍼센트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국내에서의 유행은 맥주 애호가들을 일반적인 브랜드에서 국내에서 항상 강하게 존재했던 것은 아니었던 수입 맥주로 옮겨 가게 했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실제로 국내 주류 산업에서 번성하고 있는 유일한 종류의 술은 수입 맥주뿐이라고 한다.
한국 무역 협회에 따르면 2017년 1월과 7월 사이에 맥주가 처음으로 주류 수입에서 1위를 차지하며 와인과 오랜 기간 위스키를 능가했다고 한다.
이 기간 동안에 맥주 수입은 전년 대비 50.5%증가한 1억 1499 만달러를 기록했다. 국내 맥주 수입이 처음으로 1억달러에 도달한 것은 2014년부터만 이 수치가 주목할 만하다.
부피로 보면, 2017년에 맥주 수입은 2억 2천만리터에 달했는데, 이는 2012년의 7,470 만리터에 비해 거의 3배 증가한 것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 수치가 올해 처음으로 3억명을 넘어설 것이라고 말한다.
일본과 중국은 한국에 맥주의 최고 수출 국가였지만 벨기에와 아일랜드 같은 나라들이 라거보다 맥주를 제치고 맥주를 점점 더 많이 수출하면서 특히 젊은 소비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주요 편의점 체인인 GS25, CU와 세븐 일레븐도 맥주의 총 매출에서 수입 맥주의 판매량이 50퍼센트를 넘어서는 등 적극적인 4개의 캔(깡통)제공에 나섰다. 슈퍼 스토어 체인 이마트는 수입 맥주가 전국 매장에서 맥주 판매량의 51.2%를 차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소매상들은 점점 커지는 단독 음주 문화, 즉’홍술’이, 술을 마실 필요 없이, 그저 낮은 알코올 도수의 외제 맥주를 손에 쥐기 위한 선두 주자로 보고 있다.
“내가 편의점이나 국내 시장의 수입 맥주 코너에 들어서면, 다양하고 화려하고 싼 외제 맥주 매장을 둘러보는 것만으로도 아주 재미 있고 즐겁습니다,”라고 31세의 서울시 생활 근로자인 장예지는 말했다.
여러 종류의 외국 맥주를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는 편의점과 소매점들에서 제공되는 다양하고 지속적인 홍보 행사들이 분명히 주요 역할을 했다.
이는 국내외 맥주에 부과되는 세율이 다르기 때문에 가능했습니다.
주류 과세 법에 따르면 맥주에 부과되는 세금은 맥주 판매비를 포함한 공장도 가격에 따라 부과된다. 수입 맥주에 부과되는 세금은 생산비와 관세를 합산한 것으로 마케팅 비용은 포함하지 않는다.
많은 한국의 양조장들은 수입 업자들이 실제로는 특별 대우를 받고 있다고 말하며 이 규제를 한국 맥주에 대한 차별적 조치로 간주해 왔다.
“외국 맥주 회사들은 유통 마진을 줄임으로써 소매가를 통제할 수 있고, 그들은 심지어 훨씬 더 낮은 수입 가격을 보고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솔직히, 한국의 주요 수입품 가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올해부터 정부는 맥주 수입 업자와 맥주 공예 맥주에 대한 규제도 없앴다.
미국과 유럽 연합에서 수입한 맥주는 한국이 각각 서명한 자유 무역 협정에 따라 각각 이 달과 7월부터 관세가 면제되거나 면제될 것이다.
이에 따라 업계 전문가들은 국내 맥주 업체들이 더 많은 물량을 해외로 수출해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 최대 맥주 회사 중 하나인 하이트 진로는 베트남을 동남 아시아에서의 진출을 위한 관문으로 사용할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동사는 2024년까지 하이트 맥주와 진로 소주의 해외 매출액 5,300 억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는 맞춤형 마케팅 솔루션을 개발하고 판매망을 강화해 한국 대중 문화가 대단히 인기 있고 소비자들은 독한 술을 좋아하는 베트남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것입니다,”라고 베트남 하노이의 최고 경영자는 말했다.
동사는 지난 5년 동안 공격적이고 집중적인 마케팅에 힘 입어 이미 홍콩 시장에서 매출이 7배나 증가했다.
“일본 맥주 업계는 지난 수십년 동안 감소하는 알코올 소비에 직면해 왔습니다. 그들이 추구한 것은 그들의 돌파구의 일환으로, 주식을 매입하거나 다른 외국 주류 회사들을 매입하는 것이었습니다. 이것이 한국 맥주 산업의 미래이고 현실입니다.”
김 다솔 (ddd@heraldcorp.com)